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국민도 반대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by 지낭쓰 2023. 5. 30.

국민 85.4%,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반대

진영·지역 상관없이 압도적 반대

국민 72%,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 소비 줄일 것"

환경운동연합, "수산물 이력제·수입금지 강화 등 우리 수산물 안전대책 마련해야"

 

국민의 4분의 3 이상이 후쿠시마 오염수의 바다 방류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공터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환경운동연합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조사로 실시했습니다.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이번 조사는 1. 오염수 방류 찬반 2. 오염수 바다방류 시 수산물 소비의도 3. 해양방류 문제에 대한 정부 대응 평가 등 11개 항목으로 진행됐습니다.

 

우선 조사의 응답자의 85.4%가 후쿠시마의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합니다. 권우현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보수 응답자의 80%가 반대 의사를 밝혔고, 캠프와 지역, 성별, 세대 등에서 뚜렷한 편차는 없었습니다." 어업인 등 수산업 종사자들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하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할 때 수산물을 소비하겠다는 의도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습니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자의 72%가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경우 수산물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습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이사는 "후쿠시마 오염수가 배출되면 수산물 소비가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가 국내 수산물 안전대책을 시급히 마련하고 후쿠시마를 막기 위해 해야 할 일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할 때 우리 정부의 수산정책 방향을 묻는 질문에 '수입금지를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61.6%로 가장 많았고, '수입금지를 축소·완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8.6%에 불과했습니다." 조사 대상자 중 23.4% "현행 수입금지 수준 유지해야" 한국 정부는 현재 후쿠시마 현과 인근 8개 현에서 생산된 수산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에 파견된 점검단이 귀국을 앞둔 상황에서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신뢰할 수 없었고,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은 여전히 높았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대한 신뢰를 묻는 질문에 79%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또 조사 대상자의 64.7%는 오염수의 바다 방류 문제에 대해 정부가 잘못 대응하고 있다고 답해 부정적 여론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안 원장은 "지금까지 시민사회는 일본 내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 방지를 위한 공동행동을 마련하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리는 6월 8일 국제 해양의 날을 맞아 어부들과 함께 집회를 열 것입니다," 라고 그가 말했습니다. 그는 "정부는 국내 수산물의 안전성을 적극 점검하고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강화하기 위해 수산물 이력제 도입을 요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