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세계 최초의 원자로 연쇄반응 물질을 찾아라 레오 실라드(1898~1964) 와 엔리코 페르미(1901~1954) 는 1942년 12월 2일 시카고 대학교 운동장 스탠드 아래의 사용되지 않는 스쿼시 코트에 6톤의 우라늄과 50톤의 신화 우라늄, 그리고 400톤의 흑연벽돌로 이루어진 페르미 파일에서 우라늄 원자핵의 연쇄 핵분열 반응을 실험하는 데 성공했다. 그것은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한 마지막 기술을 완성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한 러더퍼드는 원자핵이 분열할 때 나오는 에너지를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원자핵을 부술 때 나오는 에너지는 아주 작아서 이 에너지를 이용하려는 것은 달빛을 이용하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하여 그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지 않은 사.. 2023. 5. 31.
일본 국민도 반대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국민 85.4%,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반대 진영·지역 상관없이 압도적 반대 국민 72%,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 수산물 소비 줄일 것" 환경운동연합, "수산물 이력제·수입금지 강화 등 우리 수산물 안전대책 마련해야" 국민의 4분의 3 이상이 후쿠시마 오염수의 바다 방류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25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3층 공터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환경운동연합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조사로 실시했습니다.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입니다. 이번 조사는 1. 오염수 방류 찬반 2. 오염수 바다방.. 2023. 5. 30.
후쿠시마 오염수 논란 팩트 체크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에 축적된 100만톤 이상의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염된 물이 바다를 통해 한국으로 바로 유입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왜 일본은 오염된 물을 방출하려고 계획했나요. 언제, 어떻게 배출되는 오염수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우리는 후쿠시마 오염수의 '팩트'를 조사했습니다. Q. 원전이 멈춘 상태에서 오염수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A. 지하수의 흐름을 막을 수 없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7월 말 현재 115만t의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가 축적돼 있습니다. 이런 오염물질이 하루에 170톤씩 증가하고 있다고도 합니다. 사고가 난 건 8년 전인데, 가동이 중단된 원전은 왜 자꾸 오염수를 생산하는 .. 2023. 5. 29.
누리호와 우주 향한 위성 8기 중 2기 미아 누리호 3차 발사, 설정한 임무 수행해 성공을 기록했습니다. 주탑재 차세대소형위성 2호 순항, 정상 작동을 확인했습니다. 부탑재 큐브위성 7기 중 2기 교신 아직입니다. 미사출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3차 발사가 성공했습니다. 목표 궤도에 오르고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습니다. 누리호는 3차 발사 때 설정한 목표를 모두 이루면서 성공으로 기록됐습니다. 이에 따라 누리호에 실려 우주에 오른 인공위성 8기의 성패 여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누리호와 함께 우주에 오른 인공위성 8기 중 6기는 성공적인 신호 교신이 이뤄졌습니다. 다만 아직 2기에 대한 신호는 잡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연구진들은 지속적으로 신호 수신 여부 등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 2023. 5. 28.